📌 2025년 소득 하위 90%란? 일반 국민 판정 이란?
✅ 요약
- ‘소득 하위 90%’는 정부 지원금 지급, 각종 공공정책 대상자 선정 시 보편적인 기준선입니다.
- 기준 중위소득과 소득인정액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.
- 가구원 수에 따라 소득 기준 금액이 달라지며, 재산도 일부 반영됩니다.
목차
- 1. 소득 하위 90%란 무엇인가요?
- 2.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- 3. 가구 수별 소득 하위 90% 기준
- 4. 소득인정액이란 무엇인가요?
- 5. 재산과 차량도 판단 기준에 포함되나요?
- 6. 소득 하위 90% 대상자가 받을 수 있는 정책 예시
1. 소득 하위 90%란 무엇인가요?
‘소득 하위 90%’는 국민 중 소득순으로 아래 90%에 해당하는 가구를 의미합니다.
주로 다음과 같은 정부 정책에서 자격 기준으로 활용됩니다:
-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 (예: 상생 국민지원금)
- 에너지 바우처, 통신비 감면, 장학금 일부 대상자 선정
- 지방자치단체별 공공복지 서비스
📌 상위 10% 고소득자/고자산가 제외하고, 나머지 '일반 국민'이라는 뜻입니다.
2.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중위소득은 국민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소득을 말하며, 정부 복지 정책의 기준선으로 사용됩니다.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(100%) | 90% 기준 추정 (월 기준) |
---|---|---|
1인 | 2,207,000원 | 약 1,986,000원 |
2인 | 3,640,000원 | 약 3,276,000원 |
3인 | 4,694,000원 | 약 4,224,000원 |
4인 | 5,648,000원 | 약 5,083,000원 |
5인 | 6,542,000원 | 약 5,887,000원 |
📌 위 기준보다 소득인정액이 낮으면 '소득 하위 90%'에 해당합니다.
3. 가구 수별 소득 하위 90% 기준
가구원 수 | 소득 하위 90% 상한선 (월 기준) |
---|---|
1인 가구 | 1,986,000원 이하 |
2인 가구 | 3,276,000원 이하 |
3인 가구 | 4,224,000원 이하 |
4인 가구 | 5,083,000원 이하 |
5인 가구 | 5,887,000원 이하 |
💡 이 기준은 생계급여, 차상위계층과는 다른 판단선이며, 일회성 정부 지원금이나 보편적 복지 판단 기준으로 자주 사용됩니다.
4. 소득인정액이란 무엇인가요?
단순 월급이 아닌 실제 소득 + 재산의 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.
✅ 소득인정액 계산 방식
소득인정액 = 실제 소득 + (재산 – 기본공제액) × 환산율
예시:
재산 5,000만 원 → 일부 환산 시 월 20만 원 소득
월급 200만 원 + 환산재산 20만 원 = 소득인정액 220만 원
📌 월 소득은 적더라도 재산이 많으면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5. 재산과 차량도 포함되나요?
네. 대부분의 정책에서 소득 + 재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.
✅ 주요 판단 요소
항목 | 판단 기준 |
---|---|
부동산 | 실거주용 외 부동산 소유 시 불이익 |
금융자산 | 예금, 주식, 보험 등 총 2,000만 원 이상일 경우 반영 |
차량 | 시가표준액 2,000만 원 초과 시 고자산 간주 |
부채 | 주거 관련 대출은 일부 공제 가능 |
6. 소득 하위 90%가 받을 수 있는 정책 예시
정책명 | 혜택 내용 |
---|---|
재난지원금 | 2021년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기준 |
에너지바우처 | 난방비·전기료 일부 지원 |
통신비 감면 | 월 11,000원~22,000원 할인 |
장학금 II유형 | 소득 8분위 이하 대상 가능 |
지역화폐 우선 지급 | 지자체별 지급 시 우선 대상자 지정 |
📌 복지 대상자는 아니지만, 보편적 지원의 우선 수혜자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7. 소득하위
- ‘소득 하위 90%’는 정부가 설정한 보편적 수혜 대상의 경계선입니다.
-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가구 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.
- 소득 + 재산을 합친 소득인정액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
- 정부 지원금, 에너지바우처, 통신비 감면 등에서 자격 판단 기준으로 활용됩니다.
2025.06.26 - [분류 전체보기] - 차상위계층 지원금 판단 기준
차상위계층 지원금 판단 기준
2025년 차상위계층 판단 기준조건, 혜택, 신청 방법 총정리✅ 요약차상위계층이란?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 단계의 저소득층을 의미중위소득 50%~60% 이하 가구가 대부분 해당기초수급자는 아니지
bj77t.4timkook.kr
2025.06.26 - [분류 전체보기] -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판단 기준
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판단 기준
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기준 – 누가, 어떻게 대상이 되나?✅ 요약 기초생활수급자란 생계가 어려운 사람에게 정부가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 등 생존권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수급자 선정은 소
bj77t.4timkook.kr
2025.06.26 - [분류 전체보기] - 지원금 사용 못 하는 곳 | 사용 불가 업종은? 확인 안하고 사용하면 지원안됨.
지원금 사용 못 하는 곳 | 사용 불가 업종은? 확인 안하고 사용하면 지원안됨.
국민지원금, 어디서 못 쓰나요? – 사용 불가 업종✅ 요약국민지원금은 지역 내 소비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정부 지원금입니다.하지만 모든 업종에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, 사행성·고소득
bj77t.4timkook.kr
2025.06.17 - [분류 전체보기] - 택시 내 외국인 범죄 대응 방법
택시 내 외국인 범죄 대응 방법
본 문서는 택시 기사가 외국인 승객으로부터 범죄 피해를 입었을 경우,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.+1. 문제의 심각성 및 증거 확보의 중요성"이제 한국에
bj77t.4timkook.kr
2025.06.12 - [분류 전체보기] - 퇴사 후 40대 재테크 부업 BEST 5 (현실적인 수익모델)
퇴사 후 40대 재테크 부업 BEST 5 (현실적인 수익모델)
2025.05.31 - [분류 전체보기] - 로또번호 무료로 주는 곳 | 로또 번호 나눔 로또번호 무료로 주는 곳 | 로또 번호 나눔로또는 사랑 입니다.로또는 복권이지만 수익금을 좋은 곳에 사용한다는 부분에
bj77t.4timkook.kr
2025.05.31 - [분류 전체보기] - 로또번호 무료로 주는 곳 | 로또 번호 나눔
로또번호 무료로 주는 곳 | 로또 번호 나눔
로또는 사랑 입니다.로또는 복권이지만 수익금을 좋은 곳에 사용한다는 부분에 대해서 기부 같은 느낌도 있어서 자책없이 그냥 두루두루 좋은 생각으로 구매하고 또 되면 정말 좋기도 하겠죠.
bj77t.4timkook.kr